지난해부터 전셋값 하락이 가파릅니다. <br /> <br />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을 나타내는 전세가율을 보면 얼마나 떨어졌는지 알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2%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2년 수준으로 돌아간 거죠. <br /> <br />최근 1년 동안 전셋값이 집값보다 크게 떨어졌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전세대출 이자 부담은 커지고 전세 사기 우려로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 일부 지역은 입주 물량이 늘어 전셋값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그럼 전셋값 얼마나 떨어졌을까요? <br /> <br />지난달 강남의 한 아파트는 84제곱미터가 전세가 8억 원에 거래됐는데, 지난해 10월 직전 거래보다 무려 7억 원이 하락한 겁니다. <br /> <br />강남의 다른 아파트 상황도 마찬가집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전셋값 하락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서울은 올 상반기에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많은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달만 봐도 강남과 동작에서 대단지의 입주가 시작되는데요. <br /> <br />서울의 입주 물량은 6,303가구로, 올해 가장 많은 공급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전셋값 하락이 본격화되면서 부동산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죠. <br /> <br />전셋값 하락이 지속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계약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먼저 '계약갱신청구권'을 사용하는 세입자가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2월 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갱신 계약 건수는 약 6천 건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는데요. <br /> <br />1년 새 47%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갱신 계약을 한 경우에도 전셋값을 낮춘 감액 계약의 비중이 늘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수도권의 전·월세 갱신 계약을 분석했더니, 전체 갱신 계약 100건 가운데 13건은 2년 전보다 낮은 가격에 체결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'역월세'도 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역전세난으로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온전히 돌려주지 못해 차액을 이자 형태로 매달 지급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현상이 많아지면서 역월세 계약서를 쓸 때도 주의 해야할 점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계약서에 '대항력을 유지'한다고 명시하는 게 중요하고요. <br /> <br />소송에 대비해 '이자가 밀릴 경우 계약을 해지하고 전세금 전부를 반환한다'고 단서를 적는 것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20711074749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